[특집] ‘한국 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②
페이지 정보
김범태 기자 기자
kbtlove@kuc.or.kr
입력 2023.02.17 09:44
글씨크기
본문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기독교 사회적 불신감 커져
■ 종교의 사회적 활동에 관한 종교별 비교 인식
Q. 다음 중 어느 종교가 사회봉사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사회봉사활동 적극 수행 종교
양적인 측면에서 사회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종교를 물었다. 기독교는 2020년 35.7%에서 20.6%로 약 15.1% 하락해 가톨릭에 이어 2순위로 응답됐다. 기타 종교를 제외한 3대 종교에 대한 사회봉사 수행 인식이 전체적으로 하락했다. 20대가 사회봉사활동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종교로 기독교를 꼽은 점이 주목된다.
Q. 다음 중 어느 종교의 사회봉사활동이 한국 사회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 사회에 가장 도움이 되는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종교
봉사의 절대적인 양과 상관없이 질적으로 어떤 종교의 봉사가 가장 한국 사회에 도움이 많이 되는지 물었다. 2020년에는 기독교(30.7%) > 가톨릭(28.8%) > 불교(13.5%) 순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가톨릭이 기독교를 넘어 가톨릭(26.7%) > 기독교(19.8%) > 불교(9.8%) 순으로 조사됐다.
특성별로 볼 때, ‘40대’와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응답자들은 기독교를 가장 도움이 된다고 꼽았다. 반면, 무종교인들은 ‘가톨릭’(25.5%)을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기독교와 불교에 대해서는 8%대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Q. 종합적으로 보아 한국 사회에 가장 긍정적 기여를 하는 종교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 사회에 가장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종교
양적, 질적 측면을 통틀어 종합적으로 한국 사회에 가장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종교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가톨릭이 26.4%로 1위였다. 기독교와 불교는 각각 15.7%, 15.1%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대상을 무종교인으로 한정하면 가톨릭(23.6%)이 가장 높고, 불교가 14.9%다. 기독교는 5.1%로 매우 낮다.
Q. 한국 교회는 교회 밖의 비판 여론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 교회의 교회 밖 비판 수용 준비 정도
현재 한국 교회가 교회 밖 비판 수용 준비가 얼마나 되었는지 물었다. ‘준비되었다(매우+약간) 15.4%’ ‘준비되지 않았다’ 80.0%(별로+전혀)로 5명 중 4명은 한국 교회가 아직 교회 밖에서 제기되는 비판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봤다. 국민들은 교회가 사회와 소통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기독교인조차 과반수 이상(55.3%) 한국 교회가 아직 사회적 비판에 대해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답했다. 소득 수준 ‘상’층에서 부정 평가가 91.6%로 특히 높았다.
Q. 귀하께서는 한국 교회가 우리 사회에 전체적으로 얼마나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 교회의 사회 기여도 평가
과연 교회는 사회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을까? 이에 대해 질문한 결과, ‘기여하고 있다’(매우+약간) 24.1%, ‘기여하고 있지 않다’(별로+전혀) 70.8%로 나타났다. 긍정적 응답에 비해 부정적 응답이 무려 3배 가까이 높다.
특성별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이념적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기여하고 있다’는 긍정 응답률이 높았다. 반대로, 부정적 평가가 높은 응답자는 남성(73.3%)이었으며, 이념적 진보층(85.3%)이었다.
Q. 그러면 한국 교회가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는지 다음의 의견들에 대해 답해 주세요.
- 한국 교회의 사회 기여도 속성별 평가
한국 교회가 우리 사회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속성별로 물었다. ‘취약계층 구제 및 복지 증진’(38.2%)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사회적 약자의 인권보호’(30.4%), ‘도덕과 윤리 고취’(25.5%)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부패방지’(13.3%), ‘사회통합’(15.3%), ‘남북화해’(16.1%)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적으로는 ‘기여하지 않는다’(별로+전혀)의 응답이 ‘기여한다’(약간+매우)의 응답보다 높았다. 그래도 1순위, 2순위를 종합해보면 복지 및 인권보호 등 사회적 약자들을 돕는 활동을 상대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으나 부패방지, 사회통합 등 적극적인 사회적 역할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었다.
Q. 귀하께서는 한국 교회가 앞으로 우리 사회에 얼마나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 교회의 미래사회 기여도 전망
교회가 앞으로 우리 사회에 얼마나 기여할 것이라고 예측할까? 25.2%의 응답자는 앞으로 한국 교회가 미래사회에 기여할 것이라고 긍정적인 답을 내놨다. 부정 응답은 69.6%였다. 4명 중 1명만이 기여도가 있다고 전망한 것이다. 이는 현재 한국 교회의 사회 기여도 평가가 긍정 24.1%, 부정 70.8%인 것과 비교하면 거의 유사한 현상이다. 앞으로의 한국 교회에 대한 기대가 별로 없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교회의 미래 기여도 전망에 긍정률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종교별로는 기독교에서는 64.3%만이 긍정 응답을 보였지만, 나머지 종교에서는 부정의 응답이 과반수를 넘었다. 무종교인은 14.1%만 한국 교회가 미래사회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Q. 귀하께서는 사회 공동의 이익과 종교적 신념이 충돌할 때 한국 교회는 어떤 것을 추구할 것 같습니까?
- 한국 교회 이미지(사회 공동의 이익 vs. 종교적 신념)
한국 교회가 사회 공동의 이익과 종교적 신념 중 어떤 것을 더 중요시할 것 같은지 묻는 질문이다. ‘교회의 교리를 추구할 것 같다’는 대답이 60.0%였다. ‘사회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것 같다’는 23.6%였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한국 교회는 사회 공동 이익보다는 교리를 추구하는 종교라고 생각했다.
기윤실은 “이 점이 기독교를 이기적 종교 혹은 사회와 동떨어진 종교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무종교인은 한국 교회가 ‘사회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19.6% 밖에 되지 않았다.
■ 한국 교회의 과제
Q. 교회가 더욱 신뢰받기 위해 어떤 부분이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다음으로 개선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 한국 교회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개선 과제
교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질문한 결과 ‘교회 이기주의’가 34.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교회 지도자들의 삶’ 19.6%, ‘불투명한 재정 사용’ 17.9%, ‘타 종교에 대한 태도’ 17.3%가 언급됐다.
‘교회 이기주의’보다 절반에 가까울 정도로 차이를 보였다. 교회가 사회에 존재하는 기관으로서 사회로부터 신뢰 받기 위해서는 교회의 이익보다는 사회 공동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교회 이기주의’를 가장 많이 택한 응답자들은 무종교인이었다. 반면, 교회 지도자의 삶을 개선점으로 둔 것은 기독교 신자였다.
Q. 사회적 활동 중 한국 교회가 더욱 신뢰받기 위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한국 교회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사회적 활동
교회가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해 해야 할 사회적 활동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지 물었다. ‘윤리와 도덕실천운동’이 55.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2013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1순위로 꼽히는 응답이다. 이어 ‘봉사 및 구제 활동’ 17.8%, ‘환경 인권 등 사회운동’ 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윤리와 도덕실천운동’은 50대 이상, 이념적 보수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환경 인권 등 사회운동’은 20대와 진보층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Q. 한국 교회 목사와 기독교인(개신교인)이 더욱 신뢰받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을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목회자와 기독교인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개선점
목회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으로는 ‘윤리/도덕성’이 26.0%로 가장 높게 나타나 목회자의 윤리성 제고가 필요함을 드러냈다. 다음으로 ‘사회 공동의 이익보다 교회 이익을 우선시 하는 태도’가 20.9%의 응답율을 보였다. 이 밖에 ‘물질 추구 성향’ 15.9%, ‘정치적 발언 및 정치 집회 참여’ 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윤실 측은 이에 관해 “다양한 요인이 크지 않은 차이로 응답해서 목회자 신뢰도 개선을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문제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풀이했다.
개신교인이 신뢰 받기 위해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나만 옳다는 자세’ 23.7%, ‘이기적 태도’ 21.5%, ‘정직하지 못한 언행’ 18.8%, ‘지나친 정치 편향성’ 18.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다양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성별로 보면 30대는 ‘이기적 태도’를, 60대 이상은 ‘정직하지 못한 언행’의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무종교인들은 ‘나만 옳다는 자세’를 개선하기를 원하는 비율이 종교인보다 높았다. 기독교인과 가톨릭 교인들은 ‘정직하지 못한 언행’ 개선을 가장 많이 꼽았다.
■ 종교 중요도
Q. 종교가 개인적으로 귀하의 삶에서 얼마나 중요합니까?
종교를 믿는 자들에게 본인의 삶에서 종교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물었다. 중요하다(약간+매우)는 응답이 75.5%로 종교인의 약 4명 중 3명은 본인의 삶에서 종교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종교를 가진 국민의 대다수가 종교를 중요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종교별로 나눠 보면, 천주교(87.7%)와 기독교(83.5%)는 대부분 종교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불교인은 59.7%만이 중요하다고 말해 종교의 중요성을 덜 인정하고 있었다. 세대별로는 3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삶 속에서 종교가 중요하다고 여겼다. 또한 남성보다 여성이 종교를 중요시했다.
특집
-
인공지능 시대, ‘목회자’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024.10.24
-
인공지능 시대, ‘재림성도’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024.10.24
최신뉴스
-
올 9월말 기준 전국 재림교인 수 ‘26만6582명’ 2024.11.18
-
3기말 기준 침례자수 1901명 ... 전년 대비 272명 ↑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