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하, 기독교는 합법적 정치사회 공간”
페이지 정보
김범태 기자
kbtlove@kuc.or.kr
입력 2002.08.21 00:00
글씨크기
본문
기독문화연구소 김권정 교수 ... 복음과 상황 8월호서 주장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인 김권정 교수는 월간 복음과 상황 8월호에 기재한 ‘기독사회운동사’에서 “기독교 공동체가 자연스럽게 정치 사회적 조직망을 연결하는 구심점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다”며 “정치 사회적이 sghkf동의 자유가 전면금지된 한국인들에게 주일·수요예배와 각종 특별기도회, 부흥회,·사경회, 성경공부 등은 정치사회적 공간들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또 “이런 기독교세력은 일제의 탄압과 이에 대한 저항, 그리고 운동의 기반이 되는 조직망의 구축 및 국제적 시각의 확보 등을 통해 3·1운동에 참여하게 되고, 여기에는 강한 기독교적 가치가 작용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기독교계의 민족운동 참여는 19세기말 이래 민족적 과제에 동참해 왔던 사회참여 전통을 잇는 것이며, 기독교가 당한 고난이 일제의 침략과 강점이라는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식하고, 민족의 독립을 추구하는 것이 곧 신앙수호의 관건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운동 과정에서 기독교의 교회, 학교를 비롯한 각종 종교조직이 운동의 연락망과 대중동원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이처럼 교회조직과 종교집회가 시위의 주요 기반이 되었고, 시위의 전개 과정에서 교회의 종교 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이라고 풀이했다.
김 교수는 “기독교 자체가 곧 정치집단은 아니지만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를 송두리째 빼앗긴 채 1910년대를 살았던 한국인들에게 기독교는, 민족지도자들과 대중들에게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심리적으로 기대하고 또 기대고 있었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 공동체와 정치사회세력이 깊게 연계 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특집
-
인공지능 시대, ‘목회자’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024.10.24
-
인공지능 시대, ‘재림성도’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024.10.24
최신뉴스
-
[현장 인터뷰] “초기 선교사들의 희생 결코 못 잊어” 2024.11.14
-
[현장 인터뷰] 보이지 않는 곳에서 수고한 ‘돕는 손길’ 2024.11.14